[React #2] 자바스크립트의 변수/상수/자료형/형변환

01. 변수

  • 의미 : 계속해서 바뀌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름 
  • 선언 방법 : let, var
  • 차이점 : let은 변수 중복 선언이 불가함, var는 중복 선언이 가능해서 오류가 생길 가능성이 높음 
    → 되도록이면 let 사용하기
  • 규칙 : 사용 가능한 기호( _ $), 반드시 문자로 시작해야 함, 예약어는 사용 불가 

 

 

02. 상수

  • 의미 : 바뀌지 않는 값을 저장하기 위한 이름 
  • 선언 방법 : const
  • 한번 선언한 이후로 값을 바꿀 수 없음 그래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해줘야 함

 

 

03. 자료형

  • 의미 : 값을 성질에 따라서 분류한 것

  • Primitive Type (원시 타입, 내장형, 기본형) : 한번에 하나의 값만 가지며, 하나의 고정된 저장 공간 사용
  • Non-Primitive Type (비 원시 타입) : 한번에 여러 개의 값을 가지고, 고정되지 않은 동적 공간 사용

 

01) Number

 

02) String

  • 백틱(`) 사용 : 문자열 안에 변수의 값을 넣을 수 있음
  • 템플릿 리터럴 : 백틱 안에서 달러와 중괄호를 변수에 담아서 문자열로 바꿔주는 것

03) Boolean

  • 참과 거짓을 저장하는 값

04) Undifined

  •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지 않았을 경우의 값

05) Null

  • 의도적으로 아무 값도 안 담고 있음을 의미할 때 사용하는 값

 

 

04. 형변환 (캐스팅)

  • 의미 : 값은 유지하면서 자료형을 변경할 수 있음

01) 묵시적 형변환

  • 숫자인 numberA와 문자인 numberB를 곱했을 때 자동으로 문자를 숫자로 인식함
  • 자바스립트 엔진은 적절하게 자료형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기능을 갖고 있음

 

02) 명시적 형변환

  • 숫자인 numberA와 문자인 numberB를 곱했을 때 숫자를 문자열로 인식하여 결과가 나옴
  • 문자열을 숫자로 인식하고 싶다면 'parseInt'를 이용하면 됨
  • parseInt : 문자열을 숫자로 바꿔주는 내장형 함수

 

 

참고자료

이정환 Winterlood, '한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(React.js) : 기초부터 실전까지'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