썸네일 [JS] remove와 empty의 차이 제목 버튼여기 태그 안에 있는 내용을 비우고 새로운 값을 넣으려고 하는데 $(".inner").remove() 했더니 아예 값이 지워져서 추가가 안됐다.remove()선택한 요소를 DOM에서 제거. 즉, 선택한 요소와 하위 요소들을 모두 삭제$(".inner").remove(); empty()선택한 요소의 내용만을 제거. 즉, 선택한 요소의 자식 요소들을 삭제$(".inner").empty();  정리하자면,해당 요소를 지우고 싶을 땐 remove()자식 요소만 지우고 싶을 땐 empty()를 사용
썸네일 [Java] DTO에서 상속된 부모 클래스의 정보 출력하는 방법 🫧문제점 @Data public class StudyUserPageDto extends PageInfoDto { private int stdmemId; private int stdId; private String memberId; private String content; private String memStatus; private String registId; private String registDttm; private String updId; private String updDttm; private String pariYn; } 기본적으로 PageInfoDto를 상속받은 StudyUsesrPageDto는 PageInfoDto에 대해서 get, set 메서드는 사용할 수 있지만, 출력은 되지 않는다...
[React] 리덕스 툴킷으로 slice 파일 생성하기 ☘️myInfoSlice.js import { createSlice } from "@reduxjs/toolkit"; import axios from "axios"; const myInfoSlice = createSlice({ name: "myInfo", initialState: { email: "", nickName: "", gender: "", birth: "", src: "", }, reducers: { setInfo(state, action) { const { email, nickName, gender, birthDay, fileId } = action.payload; const birth = birthDay.substring(0, 4) + "." + birthDay.substring(4, 6) +..
padStart() / padEnd() padStart() 📚 현재 문자열의 시작부터 다른 문자열로 채워서 주어진 길이를 만족하는 새로운 문자열 리턴 "해당 문자열".padStart(원하는 길이, "채워넣을 문자열") let id = "peazh"; console.log(id.padStart(2, "0")); //peazh console.log(id.padStart(8, "0")); //000peazh console.log(id.padStart(6, "000")); //0peazh console.log(id.padStart(8)); // peazh 원하는 길이가 현재 문자열보다 짧다면 채워 넣지 않고 그대로 리턴 채워 넣을 문자열이 길어서 원하는 길이를 초과한다면 좌측 일부를 잘라서 리턴 채워 넣을 문자열을 넣지 않으면 기본값은 " "(공백)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