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정보처리기사실기] 라우팅 프로토콜

반응형

4과목. 네트워크

📒 08. 라우팅 프로토콜


1. 라우팅 프로토콜

(1) 라우터(Router)

  •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패킷의 경로 설정과 스위칭을 담당하는 장비
  • 데이터 패킷이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동안 최적의 경로를 판단하고 설정

(2) 라우팅 프로토콜

  •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토콜
  • RIP, OSPF, BGP 등이 있음

 

2. 라우팅 프로토콜 종류

(1) 라우팅 경로 고정 여부

  • a) 정적 라우팅 프로토콜(Static Routing Protocol)
    - 경로를 네트워크 관리자가 수동으로 설정
  • b) 동적 라우팅 프로토콜(Dynamic Routing Protocol)
    - 라우터가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라우팅 경로를 자동으로 결정
    - 종류 : RIP, OSPF

(2)  내/외부 라우팅

  • a) IGP(Interior Gateway Protoco)
    - 하나의 자치 시스템 내에서 사용되는 라우팅 프로토콜
    - 종류 : RIP, OSPF
  • b) EGP(Exterior Gateway Protocol)
    - 서로 다른 자치 시스템 간 라우팅에 사용되는 프로토콜
    - 종류 : BGP

(3)  라우팅 테이블 관리

  • a) 거리 벡터 알고리즘(distance Vector Algorithm)
    - 각 라우터가 인접한 라우터까지의 거리와 방향 정보만을 라우팅 테이블에 기록
    - 홉 수를 더 중요하게 여김
    - 종류 : RIP
  • b) 링크 상태 알고리즘(Link State Algorithm)
    - 각 라우터가 전체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정보를 가지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
    - 종류 : OSPF

 

3. 주요 라우팅 프로토콜

(1) RIP(Routing Information Protocol)

  • 홉 수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
  • 최대 15홉 지원으로 주로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
  • 30초마다 라우팅 정보를 이웃 라우터와 교환

(2) OSPF(Open Shortest Path First)

  •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
  • 홉 수, 대역폭, 지연시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 선택
  • 링크 상태 변화시 전체 라우팅 정보 전송

(3) BGP(Border Gateway Protocol)

  • 대규모 네크워크에 적합한 Path Vector 기반 라우팅 프로토콜
  • 다양한 경로 속성을 고려하여 최적의 경로 결정

 

참고자료

흥달쌤,  '흥!나게 합격 달성! 2024 정보처리기사 실기 클래스'
 

1억뷰 N잡

[1회 연장 포함] 흥!나게 합격 달성! 2024 정보처리기사 실기 클래스

www.njobler.net

반응형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