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정보처리기사실기] 데이터 교환방식 / 다중화

반응형

4과목. 네트워크

📒 03. 데이터 교환방식 / 다중화


1. 데이터 교환 방식

(1) 회선망의 종류

  • a) 전용회선
    - 항상 고정된 통신회선을 사용하는 방식
    - 일대일 연결로 송수신
  • b) 교환회선
    - 교환기를 통해 송/수신 측이 연결되는 방식
    - 전용회선에 비해 전송 속도가 느림
    - 보안 측면에서 기밀성과 무결성 고려 필요

(2) 데이터 교환 방식

  • a) 회선 교환
    - 교환기를 이용해 두 지점을 물리적으로 접속
    - 연결이 이루어진 후 전용선처럼 사용
  • b) 메시지 교환
    - 두 노드 간의 통신 경로가 미리 설정되지 않으며, 메시지를 축적한 후 전송하는 방식
    - 비 실시간 전송에 적합
  • c) 데이터그램 방식
    - 데이터 패킷 독립적으로 전송
    - 순서와 무관하게 전송
    - UDP와 유사
  • d) 가상회선 방식
    - 회선교환과 데이터그램 방식의 장점을 결합
    - 고정된 경로를 통해 패킷 전송
    - TCP와 유사

 

2. 다중화(Multiplexing)

(1) 다중화의 개념

  • 하나의 통신 회선을 여러 가입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

(2) 다중화기 종류

  • a) 주파수 분할 다중화기(FDM, Frequency Division Multiplexer)
    - 물리적 통신 채널을 여러 주파수로 나누어 사용
    - 주파수 간 사이에 Guard Band를 주어야 하므로 대역폭의 낭비 발생
  • b) 시분할 다중화기(TDM, Time Division Multiplexer)
    - 한 전송로의 데이터 전송 시간을 일정한 시간 폭으로 나누어 차례로 분배하는 방식
    - 종류 : 동기식 시분할 다중화, 비동기식 시분할 다중화
  • c) 코드 분할 다중화(CDM, Code Division Multiplexer)
    - 고유의 코드를 사용하여 여러 데이터 신호를 결합하는 다중화 방식
    - 단일 통신 채널을 여러 사용자가 공유(CDMA)
  • d) 파장 분할 다중화(WDM,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)
    - 여러 파장대를 사용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광 다중화 방식
  • e) 공간 분할 다중화(SDM, Spece Division Multiplexing)
    - 공간 차원에서 다중화를 수행하는 기술

(3) 역다중화기와 집중화기

  • a) 역다중화기(Inverse MUX)
    - 하나의 고속 통신 회선으로부터 여러 개의 저속 회선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장치
  • b) 집중화기(Concentrator)
    - 여러 개의 저속 회선에서 하나의 고속 회선으로 전송하는 장치
더보기

보안의 3요소

- 기밀성(데이터를 아무나 보면 안되기 때문에 암호화)

- 무결성(데이터는 인가된 사용자만 인가된 방법으로 변경해야 함)

- 가용성(내가 이 데이터를 원할 때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어야 함)

 

참고자료

흥달쌤,  '흥!나게 합격 달성! 2024 정보처리기사 실기 클래스'
 

1억뷰 N잡

[1회 연장 포함] 흥!나게 합격 달성! 2024 정보처리기사 실기 클래스

www.njobler.net

반응형

댓글